LIG넥스원 주가 전망, 23조 수주잔액과 중동 지역까지 수출 확대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개별주식

LIG넥스원 주가 전망, 23조 수주잔액과 중동 지역까지 수출 확대

by 하얀색흑곰 2025. 5. 14.

여러분, 최근 글로벌 방산 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는 요즘, 방위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주목해볼 기업은 바로 국내 방산 기업의 강자, LIG넥스원입니다. 23조 원이 넘는 수주잔액과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 확대 소식까지, 투자자라면 한 번쯤 관심을 가질 만한 이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살펴볼까요?

LIG넥스원 주가 전망 관련 포스팅 썸네일

 

목차

     

    1. LIG넥스원, 눈부신 성장세의 비밀은?

    1998년 2월 25일에 설립된 LIG넥스원은 어느덧 28년 차에 접어든 중견 기업으로,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을 주 업종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익현 대표이사가 이끄는 이 회사는 정밀유도무기, 감시정찰, 항공전자, 통신장비 등 다양한 첨단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데 특화되어 있죠.

     

    국민연금 자료에 따르면 현재 직원 수는 3,178명에 달하며, 신궁 미사일, 천마 미사일, 현무, K-SAAM 등 우리에게 익숙한 무기체계들이 바로 이 회사에서 탄생했답니다. 미사일 하면 LIG넥스원이라 할 정도로 국내 방산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죠.

    LIG넥스원 로고

    최신 재무 현황

    2025년 5월 현재, LIG넥스원의 1분기 수주잔액은 무려 22조 8,830억원에 달합니다. 이는 연간 매출액을 고려할 때 약 5년 이상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놀랍지 않나요?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0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136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2.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이죠. 2023년 매출액 2,309억원에서 2024년에는 3,276억원으로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4,349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사들은 LIG넥스원이 2025년에 매출 3조원, 영업이익 3,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성장세, 인상적이지 않나요?

    2. SWOT 분석으로 보는 LIG넥스원의 진짜 모습

    LIG넥스원 SWOT분석 요약

    강점(Strength)

    LIG넥스원의 가장 큰 강점은 단연 독보적인 첨단 유도무기 기술력입니다. 금성정밀 시절부터 미사일과 전투, 함정용 레이더 등을 연구/개발해온 이 회사는 특히 유도무기 분야에서 국내 경쟁사가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미 국방부가 진행하는 FCT(해외비교시험) 프로그램에 '비궁'이 참여해 미국과 동맹국들로부터 그 성능을 인정받았고, 2022년에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계약을 따내며 글로벌 톱티어 방산업체들과 동등한 기술력을 입증했죠.

    약점(Weakness)

    그러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측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현대로템이 철도차량 사업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항공엔진 사업을 겸하는 것과 달리, LIG넥스원은 매출의 100%가 방산에서 발생합니다. 방산 호경기에는 문제없지만, 불경기에 대비한 사업 다각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회(Opportunity)

    최근 중동 및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은 큰 기회 요인입니다. 특히 UAE가 LIG넥스원의 미사일 천궁2를 4조원가량 주문하는 등 해외수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통신 장비 수출도 확대 중이며, 인도, 베트남, 브라질 등 국방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국가들과의 거래 확대도 기대됩니다.

    위협(Threat)

    한편 네덜란드 연기금 운용기관인 PGGM이 LIG넥스원을 '투자 제외 기업'으로 등재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분산탄과 같은 비인도적 살상무기 생산/판매에 대한 국제적 비판은 위협 요인입니다. 또한 방산에만 집중하는 사업 구조는 글로벌 군비 축소 기조로 전환될 경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3. 수익 구조와 현재 이슈

    LIG넥스원 수익 구조와 주요 이슈 요약

    수익구조

    LIG넥스원의 주요 제품은 정밀타격(PGM)군, 감시정찰(ISR)군, 항공전자/전자전(AEW)군, 지휘통제/통신(C4I)군 등으로 나뉩니다. 이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는 제품군은 PGM군으로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의 55.9%를 차지했습니다.

     

    LIG넥스원은 K-방산의 대표주자로, 미사일이 주력이다 보니 폴란드 방산 수출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했지만, 중동 지역에서는 미사일을, 동남아에서는 통신 장비를 중심으로 수출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UAE와의 천궁2 계약(약 4조원)은 매출 규모를 크게 키웠죠.

    현재 이슈와 향후 로드맵

    2024년 9월, LIG넥스원은 2030년까지 약 5조원을 투자하고 글로벌 방산기업 순위 20위 및 해외시장 진출 30개국을 달성하겠다는 글로벌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K-방산수출의 글로벌 4강 실현을 선도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죠.

     

    3대 미래 혁신방향으로는 ▲통합대공 솔루션 ▲무인화 솔루션 ▲수출국 확장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최근 미국 로봇 방산기업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편, LIG넥스원은 "BEYOND The LIMIT Together"라는 새로운 슬로건 아래 생산능력 증대를 위한 시설 투자도 계획 중입니다. 이를 통해 K-방산 인프라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죠. 개인적으로는 이 비전이 현실화된다면 국내 방산 산업 전체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가격 전망을 포함한 미래 전망

    주요 증권사 목표가 전망

    최근 6개월 내 발표된 증권사들의 LIG넥스원 목표가를 살펴보면:

    • 교보증권: 45만 원 (2025년 5월 9일)
    • 삼성증권: 32만 원 (2025년 2월 17일)
    • 기타 증권사: 34만 원 평균 (2025년 2월)

    교보증권의 안유동 연구원은 LIG넥스원의 목표가를 기존 31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였으며,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습니다. 삼성증권의 한영수 연구원 역시 목표가를 30만 원에서 32만 원으로 상향했는데, 이는 4분기에 확보한 3조 5천억 원 규모의 수주가 예상을 크게 뛰어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LIG넥스원 주가 차트

    개인적인 가격 전망

    증권사들의 평가를 종합해보면, LIG넥스원의 주가는 상승 여력이 충분해 보입니다. 특히 2025년 상반기 이라크 천궁-II 매출 반영이나 미국 수출 가능성 등이 실현된다면, 더 큰 성장이 기대됩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유상증자 이슈나 방산 비리 우려 등의 변수가 있어 변동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방산 수출 확대와 신규 방산·로봇 사업 성장, 국방예산 증가 등의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한, LIG넥스원과 같은 방산 기업의 성장 가능성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기술력과 해외 수출 확대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더 큰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경쟁사 분석과 산업 동향

    경쟁사 비교 분석

    기업명
    특징
    장점
    단점
    LIG넥스원
    유도무기 전문, 100% 방산기업
    독보적인 첨단 유도무기 기술력,
    대규모 수주잔액 보유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부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엔진 사업 병행, 대기업 계열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대규모 자본력
    경쟁 심화로 인한 수익성
    압박 가능성
    현대로템
    철도차량 제작 병행
    방산과 철도 사업 병행으로
    안정성 확보
    핵심 기술력에서 상대적 약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항공기 및 위성 전문
    정부 주도 사업 참여 기회 많음
    경영 환경 변화에 민감

    방산 산업에서 LIG넥스원의 경쟁사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이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경쟁사들이 대부분 방산 외에 다른 사업을 병행하는 반면, LIG넥스원은 오직 방산에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술 축적 측면에서는 강점이 될 수 있지만, 시장 다변화 측면에서는 약점이 될 수 있죠.

    산업 동향

    현재 글로벌 방산 시장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군비경쟁으로 인해 호황기를 맞고 있습니다. 특히 중동과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방비 증가로 수출 기회가 늘고 있으며, 무인화·AI 기술 접목 등 첨단 기술 개발 경쟁도 치열합니다.

     

    미국, 유럽의 방산 시장도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데, LIG넥스원의 '비궁'이 미국 해외비교시험 프로그램을 통과한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만약 미국 시장 진출에 성공한다면, 이는 국산 무기체계로는 최초가 될 것입니다.

    6. 개인적인 생각 및 결론

    LIG넥스원을 살펴보면서 가장 인상적인 점은 단일 사업 영역에 집중하면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28년 동안 축적된 기술력과 전문성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투자 포인트

    1. 안정적인 수주잔액: 22.8조 원에 달하는 수주잔액은 향후 5년 이상의 매출을 보장하는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2. 해외 수출 확대: UAE, 인도네시아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미래 성장 전략: 2030년까지 5조 원 투자 계획과 통합대공 솔루션, 무인화 솔루션 등의 혁신 방향은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4. 기술력 인정: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에게 기술력을 인정받은 점은 향후 추가 수출 가능성을 높입니다.

    개인적으로는 LIG넥스원이 방산 전문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로봇이나 AI 같은 첨단 기술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물론 사업다각화의 부족이나 국제적 윤리 이슈 등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지만, 전반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방산 산업의 특성상 단기적인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 방산·로봇·위성 산업의 성장과 함께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봅니다. 특히 현재의 국제 정세를 고려하면, 앞으로도 방산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LIG넥스원의 목표 주가는 얼마인가요?

    A1. 최신 증권사 의견 기준, 교보증권은 45만 원(2025년 5월 9일), 삼성증권은 32만 원(2025년 2월 17일)의 목표가를 제시했습니다.

    Q2. LIG넥스원의 주요 성장 동력은 무엇인가요?

    A2. 방산 수출 확대, 신규 방산·로봇 사업 성장, 국방예산 증가가 핵심 성장 동력입니다.

    Q3. LIG넥스원의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요?

    A3. 방산 수출 지연 가능성, 원자재 가격 상승, R&D 비용 증가가 주요 리스크입니다. 또한 사업 다각화 부족도 잠재적 위험 요소입니다.

    Q4. LIG넥스원의 주요 제품은 무엇인가요?

    A4. 신궁 미사일, 천마 미사일, 현무, K-SAAM, 홍상어 미사일, 백상어 어뢰, 현궁 등이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Q5. LIG넥스원은 어떤 미래 전략을 가지고 있나요?

    A5. 2030년까지 5조원 투자, 글로벌 방산 순위 20위 달성, 해외시장 3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통합대공 솔루션, 무인화 솔루션, 수출국 확장 등을 주요 혁신 방향으로 삼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에이비엘바이오 주가 전망, 4조원 GSK 빅딜의 주인공 - 재테크하는 흑곰

    글로벌 제약사 GSK와 4조원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에이비엘바이오의 최신 재무현황과 기술력을 분석합니다. 이중항체와 뇌혈관장벽 기술의 혁신으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의 미래 전망과

    investingbb.co.kr

     

     

    SK이터닉스 주가 전망, 2025년 주목해야 할 친환경 에너지 리더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SK이터닉스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려고 합니다.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친환경 에너지 기업들

    kkomccom.com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역대 최대 분기 실적!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역대급 실적을 발표한 현대글로비스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코로나 이후 글로벌 ...

    blog.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