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빌리언 주가 전망, 희귀질환 진단 AI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매력 분석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개별주식

쓰리빌리언 주가 전망, 희귀질환 진단 AI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매력 분석

by 하얀색흑곰 2025. 5. 16.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코스닥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AI 기반 희귀질환 진단 기업 '쓰리빌리언'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발표된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전년 동기 대비 116%나 증가한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쓰리빌리언, 과연 이 회사의 미래는 어떨까요? 희귀질환 진단부터 치료제 개발까지 확장하는 이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매력을 함께 살펴봅시다.

쓰리빌리언 주가 전망 관련 포스팅 썸네일

 

목차

     

    쓰리빌리언, 어떤 회사인가?

    쓰리빌리언은 2016년 설립된 AI 기반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 기업으로, 회사명은 인간 DNA 염기쌍의 개수 30억(3billion)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희귀 유전질환 진단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회사는 지난해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쓰리빌리언의 핵심 기술은 환자의 10만개 유전변이 각각의 병원성 여부를 5분 이내, 99.4%의 정확도로 해석하고, 질병을 유발한 원인 유전변이를 톱5(Top 5) 기준 98.1% 정확도로 찾아내는 AI 희귀질환 진단 검사 시스템입니다. 기존 유전의학 전문가가 같은 작업을 진행할 경우 20~40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이 기술의 혁신성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죠.

    쓰리빌리언 로고

    최근 재무 현황

    2025년 1분기, 쓰리빌리언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연간 매출은 약 58억원으로, 2023년 27억원 대비 112% 증가했습니다. 영업손실은 2023년 84억원에서 2024년 74억원으로 12% 감소했지만, 여전히 적자 상태입니다.

    쓰리빌리언의 SWOT 분석

    쓰리빌리언 SWOT분석 요약

    강점(Strength)

    • AI 기반 희귀질환 진단 기술의 높은 정확도(99.4%)와 빠른 처리 속도(5분 이내)
    • 30여건이 넘는 특허와 100여건에 육박하는 임상 검증 논문으로 기술력 입증
    • 60개국 이상 400개가 넘는 기관에 서비스 제공 중인 글로벌 네트워크
    • 80%에 달하는 높은 고객 재구매율

    약점(Weakness)

    • 지속적인 영업 적자 상태(2024년 74억원 영업손실)
    • 932억원에 달하는 누적 결손금(2024년 6월 말 기준)
    • 107억원에 불과한 현금 및 현금성자산(2024년 6월 말 기준)
    •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

    기회(Opportunity)

    • 글로벌 희귀질환 유전자 검사 시장의 빠른 성장(연간 2000만건, 최대 20조원 규모)
    •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한 성장 가능성(미국 시장 규모 약 4조원)
    •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로의 사업 확장 가능성
    • AI 기술 발전에 따른 진단 정확도 및 효율성 향상

    위협(Threat)

    • 글로벌 경쟁사들과의 치열한 경쟁(진디엑스, 센토진 등)
    • 높은 연구개발(R&D) 비용 부담
    • 의료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 수익성 개선 지연 시 추가 자금 조달의 어려움

    쓰리빌리언의 수익 구조와 현재 이슈

    쓰리빌리언 수익 구조와 주요 이슈 요약

    수익 구조

    쓰리빌리언은 크게 네 가지 사업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1. 희귀유전질환 진단 검사: 유전체 분석부터 희귀질환 진단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풀서비스 형태
    2. 특정 질환 진단 검사 지원: 제약사의 희귀 질환 의약품에 대한 진단 서비스
    3. 데이터 기반 진단 검사: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서비스
    4.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 AI 기반 유전체 해석 소프트웨어 제브라(GEBRA) 등을 구독 형태로 제공

    특히 해외 매출 비중이 2024년 기준 70%에 달하며, 고객 재구매율도 80%에 이르러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현재 이슈와 향후 로드맵

    쓰리빌리언의 가장 큰 이슈는 미국 시장 진출입니다. 회사는 2025년을 미국 시장 진출 원년으로 삼고,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텍사스 지역이 유력하며, 임상검사 실험실 표준인 CLIA와 미국병리학회(CAP) 인증을 기반으로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강조할 계획입니다.

     

    또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상장 후 2년 이내에 신규 타깃 초기 전임상 검증을 10건 이상 완료하고, 이 중 2건 이상을 제약사에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금창원 대표는 "향후 5년 내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 분야에서 연매출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2026년 이후 매출 200억원을 달성하게 되면 손익분기점(BEP)을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쓰리빌리언의 가격 전망과 미래 전망

    증권사 가격 전망

    최근 6개월 내 쓰리빌리언에 대한 주요 증권사의 구체적인 목표주가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다만,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3월 14일 보고서에서 쓰리빌리언에 대해 "오버행 이슈는 해소됐다"고 분석했으며, 2026~27년 사이에 분기 영업이익 달성을 예상했습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NR, Not Rated).

     

    하나증권은 2025년 3월 18일 보고서에서 쓰리빌리언이 그동안 확보한 희귀 진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추가적인 성장동력을 마련할 것이라며 관련 신사업 성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역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쓰리빌리언 주가 차트

    개인적인 가격 전망

    쓰리빌리언의 주가는 현재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에 비해 다소 저평가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미국 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주가 상승 모멘텀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아직 영업 적자가 지속되고 있고 손익분기점 달성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성을 바탕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투자는 항상 리스크를 동반하므로, 개인의 투자 성향과 포트폴리오 구성에 맞게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경우 기술적 성공과 상업적 성공 사이에는 간극이 있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경쟁사 분석과 산업 동향

    경쟁사 비교 분석

    기업명
    특징
    장점
    단점
    쓰리빌리언
    AI 기반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
    5분 내 99.4% 정확도의 빠른 진단,
    가격경쟁력(990달러)
    아직 영업 적자 지속,
    미국 시장 진출 초기 단계
    진디엑스
    (GeneDx)
    미국 희귀질환 진단 시장 1위
    미국 시장 선점,
    2024년 4분기 첫 손익분기점 달성
    높은 가격(ASP 2500달러),
    기술 혁신 속도 상대적 느림
    센토진
    (Centogene)
    유럽 기반 희귀질환 진단 기업
    광범위한 유럽 시장 네트워크,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높은 운영 비용, 수익성 개선 필요
    인비테
    (Invitae)
    유전자 검사 종합 기업
    다양한 유전자 검사 포트폴리오,
    대규모 유통망
    희귀질환 특화 기술력 부족,
    재무적 어려움
    GC지놈
    국내 유전체 분석 기업
    국내 시장 인지도, 그룹사 시너지
    글로벌 경쟁력 및 AI 기술력 상대적 부족

    산업 동향

    글로벌 희귀질환 진단 시장은 2023년 26억 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7.36% 성장해 2030년에는 82억 3,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전 세계 희귀질환 유전자 검사 시장은 연간 2000만건의 수요가 있는 거대한 시장으로, 규모는 최대 20조원에 달합니다.

     

    이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는 희귀 질환에 대한 인식 증가, 유전체학 및 생명공학의 발전, 정부 정책 및 자금 지원 등이 있습니다. 또한 진단 정확도와 의사 결정을 개선하기 위한 AI와 머신러닝의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치료 시장은 2025~2030년 연평균 11.6% 성장해 2030년 3743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어, 진단에서 치료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쓰리빌리언에게는 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및 결론

    쓰리빌리언은 AI 기술을 활용한 희귀질환 진단이라는 틈새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환자의 유전변이를 5분 이내에 99.4%의 정확도로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은 기존 방식(20~40시간 소요)에 비해 혁신적이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영업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달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포인트

    1. 기술적 우위: AI 기반 희귀질환 진단 기술의 높은 정확도와 처리 속도
    2. 글로벌 확장성: 이미 60개국 이상에 서비스 제공 중이며, 미국 시장 진출 추진
    3. 사업 다각화: 진단에서 치료제 개발까지 사업 영역 확장
    4. 높은 재구매율: 80%에 달하는 고객 재구매율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성
    5. 성장하는 시장: 글로벌 희귀질환 진단 및 치료 시장의 빠른 성장세

    다만, 아직 수익성 개선이 필요하고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라는 점은 리스크 요소입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사의 미국 시장 진출 성과와 신약 개발 진행 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쓰리빌리언은 혁신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성을 갖춘 유망한 기업이지만, 아직 성장 초기 단계에 있어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희귀질환 진단 및 치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쓰리빌리언의 주요 기술은 무엇인가요?

    A1: 쓰리빌리언은 AI 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10만개 유전변이 각각의 병원성 여부를 5분 이내, 99.4%의 정확도로 해석하고, 질병을 유발한 원인 유전변이를 높은 정확도로 찾아내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Q2: 쓰리빌리언은 언제 흑자 전환이 예상되나요?

    A2: 회사 측은 2026년 이후 매출 200억원을 달성하게 되면 손익분기점(BEP)을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증권사들은 2026~27년 사이에 분기 첫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Q3: 쓰리빌리언의 미국 시장 진출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A3: 쓰리빌리언은 2025년을 미국 시장 진출 원년으로 삼고, 텍사스 지역에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CLIA와 CAP 인증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며, 990달러라는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Q4: 쓰리빌리언의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계획은 무엇인가요?

    A4: 쓰리빌리언은 저분자화합물(Small molecule) 기반의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추진 중이며, 2026년까지 신약 후보 물질 초기 검정 완료 10건 이상, 기술이전(L/O) 2건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5: 쓰리빌리언의 주요 경쟁사는 어디인가요?

    A5: 쓰리빌리언의 주요 경쟁사로는 미국 희귀질환 진단 시장 1위 기업인 진디엑스(GeneDx), 센토진(Centogene), 베일러 제네틱스(Baylor Genetics), 블루프린트 제네틱스(Blueprint Genetics), 인비테(Invitae) 등이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에이비엘바이오 주가 전망, 4조원 GSK 빅딜의 주인공 - 재테크하는 흑곰

    글로벌 제약사 GSK와 4조원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에이비엘바이오의 최신 재무현황과 기술력을 분석합니다. 이중항체와 뇌혈관장벽 기술의 혁신으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의 미래 전망과

    investingbb.co.kr

     

     

    LIG넥스원 주가 전망, 23조 수주잔액과 중동 지역까지 수출 확대

    여러분, 최근 글로벌 방산 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는 요즘, 방위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주목해볼 기업은 바로

    kkomccom.com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역대 최대 분기 실적!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역대급 실적을 발표한 현대글로비스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코로나 이후 글로벌 ...

    blog.naver.com

     

    댓글